프록시 서버와 리버스 프록시는 네트워크 상에서 요청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 사용 목적과 위치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록시 서버와 리버스 프록시 서버의 차이점과 그 역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프록시 서버 (Proxy Server)란?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요청을 다른 서버로 전달하는 중계 역할을 하는 서버입니다.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프록시 서버가 그 요청을 대신 처리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이 방식은 주로 클라이언트의 익명성 보장 또는 인터넷 접근 제어를 위해 사용됩니다.
- 사용 예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신의 컴퓨터에서 직접 웹사이트에 연결하지 않고 프록시 서버를 통해 연결합니다. 이 경우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실제 IP 주소 대신 프록시 서버의 IP 주소를 보게 됩니다.
- 사용 목적: 클라이언트의 익명성 유지, IP 우회, 접근 제어, 캐싱 기능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집니다.
2. 리버스 프록시 서버 (Reverse Proxy Server)란?
리버스 프록시 서버는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내부의 여러 서버로 전달하는 중계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리버스 프록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리버스 프록시는 이를 내부 서버로 전달하여 요청을 처리하게 합니다. 리버스 프록시는 서버 측 대리인의 역할을 합니다.
- 사용 예시: 클라이언트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리버스 프록시(Apache나 Nginx)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내부의 Node.js 서버로 전달합니다.
- 사용 목적: 보안 강화, 부하 분산(로드 밸런싱), SSL 처리, 캐싱, 내부 서버 보호 등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3. 프록시 서버와 리버스 프록시 서버의 역할 비교
역할 구분 |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 리버스 프록시 서버(Reverse Proxy Server) |
---|---|---|
위치 | 클라이언트와 외부 서버 사이에 위치 | 클라이언트와 내부 서버 사이에 위치 |
목적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중계하여 익명성 및 보안 유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중계하여 내부 서버 보호 및 부하 분산 |
예시 | 클라이언트가 프록시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 | 클라이언트가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 |
왜 "리버스"라고 부를까?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다른 서버로 대신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대리인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리버스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내부 서버로 전달하기 때문에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를 대신하는 대리인의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반대 방향의 개념 때문에 "리버스(Reverse)"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리버스 프록시의 이점
- 보안: 클라이언트가 직접 내부 서버에 접근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의 IP와 구조를 숨길 수 있습니다.
- 로드 밸런싱: 여러 대의 서버에 요청을 분산하여 부하를 줄이고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리버스 프록시 서버는 로드 밸런서를 겸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서버 간의 트래픽을 균등하게 나누어 각 서버의 부하를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HAProxy와 같은 소프트웨어는 리버스 프록시 역할과 로드 밸런싱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서버 장애 시에도 다른 서버로 요청을 분산하여 서비스의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SSL 처리: SSL 인증서를 리버스 프록시가 처리하여 내부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예시 시나리오
프록시 서버
-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숨기고 대신 외부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외부 서버는 프록시 서버로 응답을 보내며, 프록시 서버는 다시 클라이언트로 결과를 전달합니다.
리버스 프록시 서버
- 클라이언트가 리버스 프록시(Apache, Nginx 등)에 요청을 보냅니다.
- 리버스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내부 서버(Node.js 등)에 전달하여 처리합니다.
- 내부 서버의 응답을 리버스 프록시가 받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합니다.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내부 서버를 직접 접촉할 필요 없이, 모든 요청이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의 보안이 강화되고 요청 관리가 수월해집니다.
마무리
프록시 서버와 리버스 프록시 서버는 모두 요청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지만, 어느 쪽의 대리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그 역할과 사용 목적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하고, 리버스 프록시는 서버를 대신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목적에 맞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의 Record Type (0) | 2024.11.12 |
---|---|
CORS 정책에 관하여 - 이해와 해결 방법 (4) | 2024.11.02 |
HTTP, 소켓 통신, REST API, GraphQL, gRPC의 차이와 관계 (0) | 2024.10.08 |
OSI 7계층, 프로토콜, 통신에 대한 이해 (0) | 2024.08.23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호스트,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주소에 대한 이해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