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자바에서 정의된 네트워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자바프로그램이다
- 최초요청 시 서블릿 객체가 생성되고, 서버가 살아있는 동안 재사용되며, 서버가 중지될 때 객체가 삭제된다
[ init(), service(), destroy() ]
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고 URI를 분석하여 요청받은 페이지가 서블릿이면 서블릿 컨테이너에 처리를 넘긴다
2. 서블릿 컨테이너는 실행할 서블릿이 최초의 요청인지를 판단하고 최초 요청이면 서블릿 객체를 생성하고 init() 한다
3. init() 메소드는 서블릿 객체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4. service() 메소드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작업을 수행한다 (doGet(), doPost()...)
-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같은 요청이 들어오면 이미 생성된 서블릿 객체를 통해 4의 작업을 수행한다
5.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 destroy() 를 통해 모든 서블릿 객체가 소멸된다
[JSP]
- 서블릿과 기능은 동일하지만 구현방식이 HTML안에서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한다.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데 있어 컨트롤러(Controller)의 성격이 강하다면 JSP는 뷰(View) 기능도 함께 처리하는 특징이 있다. 비즈니스 로직과 뷰를 한 번에 처리하는 MVC1의 형태이다.
[Reference]
- 오정임, 「처음 해보는 Servlet&JSP 웹 프로그래밍」, 루비페이퍼, 2020년
반응형